Hyungwoo Lee's profileSamsung Design Membership's profile

Doodle

Doodle (2021)
Multisensory education and play fabric display

Doodle is a multisensory education and play fabric display to supplement children's emotional sympathy, which has been reduced due to the contact-free era. Inspired by children drawing together on the wall, Doodle is a product solution to regenerate the sympathy in a fun and natural way through multisensory communication with friends even from being apart.

두들은 비대면 시대에 따라 축소된 아이들의 정서적 교감을 보완하기 위한 다감각 교육·놀이 섬유 디스플레이입니다. 아이들이 벽에 함께 그림을 그리는 모습에서 영감을 받은 두들은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것에 익숙해진 유아기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교감을 딱딱한 디스플레이가 아닌, 부드러운 촉각을 포함한 다감각 소통을 통해 흥미롭고 자연스럽게 이끌어주는 제품 솔루션입니다.
Children getting used to playing alone, Parents increasing their concerns

Preschoolers who used to play around with their friends in kindergarten now spend 1.4 times more at home as they  encounter contact-free society in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expending their creativ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eschoolers are increasingly reluctant to go to kindergarten and their opportunities to develop social skills are naturally decreasing. Is it really okay for them to getting used to playing alone? 

창의력이 가장 발달하는 시기인 2-6세의 유아기 아이들은 유치원과 바깥에서 친구들과 함께 뛰어놀아야 할 시간에 비대면 사회를 접하며 집에 있는 시간이 1.4배 증가하였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유아기 아이들은 점점 유치원에 가는 것을 꺼리고 있으며, 결국 아이들의 사회성과 창의력을 기를 기회는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혼자 노는 것에 익숙해지는 아이들,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Infinite Creativity, Limited Environment

Children in the contact-free society tends to prefer to watch smart device alone at home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others. It is actually a natural result of children not having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be together with their friends, looking for a smart device that provides the most immediate stimulation and reward that can be found at home. At the best age when the creativity needs to grow actively, children's imaginations needs to be unfolded through physical play and interactions with friends, not locked up in a hard display.

비대면 사회의 아이들은 친구들과 함께 노는 것보다 집에서 혼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못한 아이들이 집안에서 찾을 수 있는 놀이 중 가장 즉각적인 자극과 보상이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찾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하지만 창의력이 활발하게 샘솟아야 할 시기의 유아기 아이들은 상상력을 딱딱한 디스플레이에 가두지 않고 친구들과의 다양한 놀이와 교감을 통해 최고의 창의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합니다.
Preschoolers, learning from their friends

Preschoolers learn a variety of things not only from education but also by interacting with friends. Not only from family members, they learn cognitive skills, coord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playing with friends. Furthermore, they find their ego from it. By learning "m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children will take a first step on their way to a bigger society.

유아기의 아이들은 교육에서뿐만 아니라 친구들과의 교류에서도 다양한 것을 배우게 됩니다. 가족이 아닌 또래와의 소통을 통해 인지능력, 협응력, 창의력을 배우고, 그 안에서 자아를 찾아갑니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 ‘나’를 배움으로써 아이들은 더 큰 사회로 나아갈 첫 단추를 끼우게 됩니다. ​​​​​​​
Inspired by children doodling on a wall

The idea was born from the children happily doodling on a wall together. What if there is a magical wall that children can feel as if being together by looking and feeling the same thing and play lively through various sensory stimulation?

아이들이 웃으며 함께 벽에 낙서를 그리는 모습을 보고 생각했습니다. 만약에 마법의 벽이 있어서 아이들이 떨어져 있음에도 마치 함께 있는 것처럼 같은 곳을 바라보며 같은 놀이를 다양한 감각 자극과 함께 생동감 있게 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Magical wall adding a sense of touch in a ‘half-sized’ communication

Doodle proposes a new way to communicate with friends in an interesting way. It makes children feel as if being together even if they are apart in a multisensory way including a tactile interaction through soft fabric display. Furthermore, it provides children with the necessary education in the form of fun play. The tactile interaction provided by Doodle complements the lack of direct communication in a non-face-to-face era. Doodle's goal is not to miss children's precious memories.

두들은 친구들과의 교감을 흥미롭게 끌어내어 소통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떨어져 있어도 함께 있음을 부드러운 섬유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감각적인 방식으로 느끼게 해주며, 나아가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교육을 즐거운 놀이의 형태로 제공합니다. 두들이 제공하는 촉각적인 상호작용은 만질 수 없는 비대면 시대의 결핍된 직접적인 교감을 보완해줍니다. 아이들의 소중한 추억을 놓치지 않게 하는 것이 두들의 목표입니다. 
​​​​​​​Following the fingertips like magic

Doodle can read the child's thoughts with their fingertips. The LED lights under the densely woven fabric strand surface magically follows the finger scan and provides visual tactile feedback. The densely woven strands maximize tactile stimulation for children when pressed, and they can experience various contents as if they were together with their friends.

두들은 아이의 생각을 손끝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촘촘하게 짜인 직물 가닥 표면 아래에 있는 LED 라이트로 손가락의 훑음을 마치 마법처럼 따라오며 시각적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촘촘히 짜인 직물 가닥은 꾹 누를 때 아이들의 촉각 자극을 극대화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친구들과 마치 함께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Boundless creativity, Unlimited multisensory communications

The children can become a fairy and go on adventures with their fairy friends, flying freely in the sky. They can draw their own imaginary characters and live inside their own fairy tales. Children can also enjoy interactive tactile play by layering each other's colors together, as if holding hands with their friends by pressing on the magic wall. Infinite multisensory play contents can be made through children’s imaginations, and children will now believe that if they can think of it, they can do it.

아이들은 서로 요정이 되어 친구들과 마음껏 하늘을 날아다니며 모험을 떠나기도 하며, 본인의 상상 속의 캐릭터를 그려 직접 살아있는 동화를 만들기도 합니다. 또한 아이들은 마법의 벽을 꾹 눌러 친구들과 손을 잡듯 각자의 색을 함께 겹쳐보며 상호작용 촉각 놀이를 즐기며 친구들의 풍선을 누가 빠르게 터트리는 급박한 놀이를 즐기는 등 촉각을 포함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다감각 놀이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상상을 통해 직접 만들어지는 콘텐츠들은 아이들이 상상하면, 실제로 할 수 있다는 믿음을 만들어줍니다.
​​​​​​​A Cornerstone for children's healthy growth

Children’s imaginative play is also a reproduction of experiences through playing. Through repetition of this kind of play, children make incomplete knowledge about the world their own. At the time when you need to imagine the best, doodle becomes the cornerstone of children's healthy growth, so when they encounter a new external environment, they can have a feeling of going on a new adventure rather than feeling anxious.

아이의 상상 놀이는 과거의 경험을 놀이로 재현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아이는 이런 놀이의 반복을 통해 세상에 대한 불완전했던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게 됩니다. 가장 잘 상상해야 하는 시기에 두들은 아이의 건강한 성장의 주춧돌이 되어, 아이가 새로운 외부 환경을 접할 때 불안한 감정이 아닌 새로운 모험을 떠나는 듯한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Growing together with a child

The customized device Doodle recognizes children's height as a height recognition sensor and provides the height for optimal physical activity for the growth of growing children.

성장형 디바이스 두들은 아이들의 키를 높이 인식 센서로 인식하여 무럭무럭 크는 아이들의 성장에 시기에 맞는 최적의 신체 활동을 위한 높이를 제공합니다. 
​​​​​​​Seamlessly blends into space

Doodle warmly blends into space with children and infinitely expands the children's experience. As the space expands, children's imagination can be expanded without physical limitations.

두들은 아이와 함께하는 공간으로 따듯하게 들어와 아이의 공간을 무한하게 확장해줍니다. 공간이 확장되며 아이들의 상상력 또한, 물리적 제약 없이 펼쳐질 수 있습니다.
​​​​​​​Children of the contact-free society, Future with the Doodle

It is a big challenge for children to leave the arms of their families and meet new people in new environments. Doodle does not simply stop as a tool that helps communication in a contact-free society, but can be a stepping stone to the new world by adding fun and comfort to children who are afraid of new encounters. Children in the ‘New Normal’ era will grow into active and creative talents in the future throug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Doodle.

가족의 품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낯선 환경으로 떠난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큰 도전입니다. 두들은 단순히 비대면 사회에서의 교감을 도와주는 도구에서 멈추지 않고, 새로운 만남이 두려운 아이들에게 재미와 편안함을 더해줌으로써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 뉴노멀 시대의 아이들은 두들과 함께하는 교육과 소통을 통해 다가올 미래에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인재상으로 자라날 것입니다. 
Designed by Hyungwoo Lee

With Love​​​​​​
​​​​​​​2022 Red Dot Award: Design Concept - Winner
2022 Spark Design Awards - Gold Winner
2022 Korea International Design Award -
Minister of SMEs and Start ups Award
2021 PIN UP Concept Design Awards - Grand Prix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ward)​​​​​​​
Featured by
Trend Hunter​​​​​​​
Doodle
Published:

Doodle

Doodle is a multisensory education and play fabric display to supplement children's emotional sympathy, which has been reduced due to the contact Read More

Published: